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감염성 심내막염 질환 증상 치료방법

by ♤ꋔ♣⊙ꋏ◈ꋐ♥ ▣ 2020. 2. 19.
반응형


정의

심장 판막이나 심장의 가장 깊은 곳을 감싸고 있는 심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심내막염 이라고 합니다. 

판막질환 또는 선천적으로 심장이 기형인 경우와 같이 감염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때에는 피의 순환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심장 내막에 상처를 내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냥 잘 지나가면 다행인데 혈액속에 있던 세균이 이 상처부위에 모여지게 되면 염증을 일으키게 되고 심장내막이나 심장판막이 이로인해 손상을 입게 됩니다. 


주요 원인균으로는 포도상구균, 진균, 연쇄상 구균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주요증상

발열

식은땀

근육통

관절통

오한

구토

* 심장병 환자가 상세불명의 열이 나흘 이상 계속된다면 즉시 심장초음파 검사 실시하는 것이 좋음


치료방법

세균 제거를 위한 항생제 투여를 기본적인 베이스로 깔고 혈액배양을 통한 원인균이 밝혀진 경우 심내막염 원인균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원인균에 따라 처방되는 항생제는 다를 수 있지만 입원치료를 통한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 항생제 투여기간은 통상 6주에서 8주정도이기 때문에 입원도 이정도의 기간이라고 보시면 되고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인한 판막 손상 등 부작용이 심할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감염성 심내막염 예방을 위해서는 기왕력이 있는 환자들이 치과 치료나 비뇨기 관련 시술을 받을 때 사전에 의사에게 감염성 심내막염 질환에 대해 고지하여야 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