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추 추간판 탈출증 목디스크 증상 원인 예방방법

by dongguleong2 2020. 2. 21.
반응형


경추 추간판 탈출증 정의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는 경추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추간판이 있고 이것을 합쳐서 경추 추간판 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목디스크는 경추 추간판이 뒤로 밀려 신경을 누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 원인

바르지 못한 자세나 외부의 강한 충격 도는 장시간 앉아 거북이 목으로 작업하는 자세 등이 원인이고 취침 때 높은 베개를 이용하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목과 허리, 어깨, 팔 등에 통증이 나타나고 신경의 어느부분이 압박을 받느냐에 따라서 통증을 느끼는 위치가 바뀝니다. 심하면 마비증상도 오고 다리에 힘이 빠지는 등 감각의 이상문제까지 올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수술적인 요법과 보존적인 요법이 있는데 수술적인 요법은 2개월 이상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을 느낄정도의 큰 불편함이 있을 때 수술을 고려합니다. 

보존적인 요법은 냉온찜질이나 약물치료, 견인치료 및 운동치료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예방방법

경추 추간판 탈출증은 평소의 바른 자세를 가지고 생활하면 예방이 가능합니다. 항상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베개는 낮은 것을 이용하며 장시간 컴퓨터 작업 등을 할 때 주기적으로 스트레칭 등으로 자세를 잡아줍니다. 


그리고 오십견과 목디스크는 증상이 유사하여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 팔을 들었을 때 정상인과 같은 정도의 각도를 위지하며 드는 것이 어려울 경우 오십견이고 팔을 들었는데 목부위에 통증이 오거나 찌릿한 느낌이 온다면 목디스크 (경추 추간판 탈출증)를 의심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