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드법 EPS 단열재 보온판 종류 2가지

by dongguleong2 2023. 4. 14.
반응형

비드법 EPS 단열재 보온판 종류 2가지

 

 

단열할 때 자주 나오는 비드법 EPS란 비드법 단열재는 '비드'를 발포해 제작해서 따온 이름입니다. 비드법 단열재 밀도는 비드 크기에 좌우되는데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비드법 EPS 단열재 명칭 유래

비드법 EPS 에서 EPS는 Expanded Polystyren을 줄인 용어이고 여기서 말하는 '비드'라고 하는 물질을 발포시켰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보통 '비드법 단열재', 'EPS 단열재'라고 부르는 것이 올바른 명칭입니다. 

 

 

 비드법 보온판 종류

- 비드법 보온판 1종 1호, 2호, 3호, 4호
- 비드법 보온판 2종 1호, 2호, 3호, 4호

 

비드법 보온판 1종은 하얀색 스티로품이고 비드법 보온판 2종은 검은색 스티로폼 입니다.

 

[단열재의 열전도율 범위에 따른 등급 분류]

 

비드법 보온판 1종

  • 하얀색 스티로폼
  • 저렴한 비용
  • 외벽 구성할 때 에너지 절감 효과
  • 시간이 지나도 수분함량 증가율이 적어 높은 단열성 유지
  • 먼지 등이 발생하지 않아 눈이나 폐 등을 자극할 확률이 적고 시공성이 좋음
  • 포름 알데히드 無
  • CFC 등 다른 오존층 파괴 발포제 없음
  • 재활용 가능함

 

 

 비드법 보온판 2종

  • 검은색 스티로폼
  • EPS 또는 네오폴 이라고도 부름
  • 비드법 보온판 1종보다 저렴
  • 열 가교 현상 회피를 위한 개개별 단열시공 불요

 

 비드법 단열판 특성

 

1호~4호까지는 밀도를 나타냅니다. 보통 외단열 공법에서 1호는 밀도가 좋아 시멘트 풀이 잘 붙지 않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많이 사용되는 단열판은 2호 또는 3호입니다.

 

 

외단열 비용 단가

비드법 2종 2호를 기준으로 한 1㎡ 당 외단열 비용단가입니다.

https://m.blog.naver.com/bjcheori/221574814343

 

외단열시스템(드라이비트,스타코,스타코플럭스,미장스톤,뿜칠스톤,노블스톤, 모노쿠쉬)

드라이비트란 무엇일까? 정식 명칭은 외단열공법, 외단열시스템 또는 외단열토탈시스템이라고 불린다. 구성...

blog.naver.com

드라이비트 : 35000원

스타코 : 43000원

스타코 플렉스 : 55000원

 

 

비드법 보온판 설치 주의사항

사출 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비드법 보온판 위에 드라이비트 등으로 마감하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생길 수 있고 마감재가 탈락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비드법 보온판 단열재를 사용할 때는 제조한 지 7주 이상 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단열성능이 유리섬유보다는 좋지만 이음부 단열처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단열교화를 20% 정도 낮게 생각해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