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 및 신청서 인터넷 제출 방법
실직은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위협요소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실업급여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혈세가 쓰이는 만큼 지급 요건이 철저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실업급여 신청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과정인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관련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신청 절차
- 이직 :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람으로서 퇴사하기 전 18개월동안 180일 이상 보수를 받고 비자발적으로 이직
- 피보험자격 상실 및 이직 신고 : (근로자) 사업장에서 제출한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를 근로복지공단에서, 이직확인서를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처리 완료 / (예술인, 노무제공자) 사업장에서 제출한 피보험자격 상실신고서를 근로복지공단에서 처리 완료
- 구직신청 : 워크넷 구직 등록
-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동영상 시청
-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 구직급여 수급자격 신청서를 인터넷으로 작성 후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방문예정일 입력 후 전송
- 구직급여 수급자격 신청 :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해서 실업 신고 후 구직급여 수급자격 신청 완료(방문일이 수급자격 신청일임)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 방법
순서
- 고용보험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간편인증)
- 개인
- 수급자격신청자 온라인 교육
- 동영상시청
주의사항
- 교육 종료 후 14일 이내 반드시 신분증을 가지고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방문해서 수급신청 할 것
- 방문하지 않을 경우 이수교육 소멸
- 교육 시작 후 7일 이내 수료하지 않는 경우 처음부터 재수강
- 실업급여 신청시 워크넷 구직신청 필수
- 동영상 시청 중 별도 조작 없이 30분 경과 시 자동로그아웃 처리
- 자동 로그아웃 처리되는 경우 동여상 시청 버튼 클릭시 중단 부분부터 재시청 가능
- 동영상 시청 중 재생버튼(▶) 이 없거나 클릭되지 않는 경우 화면 비율 100% 설정 요망
- 고용보험 모바일 앱(애플 앱스토어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도 수급자격 온라인 교육 수강 가능
- 음성파일 다운로드 기능을 사용해 끝가지 들었어도 교육인정 불가
- 동영상 시청 관련 문의 : 1577-7114
- 기타 실업급여 및 동영상 내용 관련 문의 : 국번없이 1350(유료)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인터넷 제출은 재량사항 입니다. 인터넷으로 제출했어도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하는 과정까지 진행되어야 최종 신고가 완료되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필요할 수 있으니 수급자격 신청서를 인터넷으로 어떻게 제출하는지 절차에 대해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순서
- 고용보험 홈페이지
- 개인서비스
- 실업급여
-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
- 신청인 정보 전부 입력
- 실업크레딧 신청 여부 체크
[참고] 실업크레딧 이란?? |
▶ 뜻 : 실업급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최대 12개월 동안 국민연금 보험료를 국가에서 75% 지원하는 제도 ▶ 목적 : 실직상태에서 오는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 재취업 집중 도모 ▶ 장점 : 국민연금 가입기간 및 장래 수령한 연금액 상승 |
주의사항
- 최종 상실한 피보험자격을 기준으로 수급자격 인정 신청서 제공
- 최종 상실한 피보험자격 外 그 이전 피보험자격 기준으로 수급자격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 거주지 관할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방문 요망
- 구직급여 수급자격 신청 당시 만 65세 이상일 경우 온라인 제출 제한
- 마지막 이직일로부터 11개월 경과한 경우 온라인 제출 제한
- 사업자등록증 있는 경우 온라인 제출 제한
- 재취업이 불가능한 경우 온라인 제출 제한
- 온라인 제출이 불가한 경우 거주지 관할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수급자격 인정 관련 안내 등을 받고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직접 신청서 제출 요망
-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만으로 수급자격 인정 불가(본인 주소지 관할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방문+본인확인+실업신고 필수)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 및 신청서 인터넷 제출 방법 정보에 대해 안내해드렸습니다. 온라인 신청서 제출만으로 절차가 완료되지 않고 센터에 반드시 직접 방문해야 한다는 점 각별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